Rust

[1] Rust (러스트) Getting Started!

초코민트냠냠 2022. 9. 29. 16:31
반응형

러스트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개발환경 세팅을 먼저 해줍시다. 여기서는 vscode로 세팅합니다.

 

rustup 이라는 러스트 관리 커맨드라인 도구를 사용합니다.

Linux & MacOS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 curl --proto '=https' --tlsv1.2 https://sh.rustup.rs -sSf | sh

Windows

https://www.rust-lang.org/tools/install 에서 설치 해주시면 됩니다.

 

 

러스트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rustc --version

 

windows에서 실행한 모습

 


VSCode 설정

vscode extention에서  'rust-analyzer' 을 설치합니다. 러스트 공식 익스텐션입니다.

 

이제 절절히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만든 다음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cargo는 rustup 설치할 때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cargo new hello_world

 

이 명령어를 샐행하면 hello_world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기본 설정을 해줍니다.

 

 

src/main.rs를 보면 Hello World를 출력하는 코드가 적혀 있습니다.

 

shift + alt + F를 누르면 기본 포매터를 rust-analyzer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구성을 누릅니다.
\rust-analyzer을 선택합니다.

settings.json에 가서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rust]": {
		"editor.defaultFormatter": "rust-lang.rust-analyzer",
		"editor.tabSize": 4
	},

 

setting에서 Format On Save를 켜면 코드 저장할 때 자동으로 포매팅을 해줍니다!

 

 

이제 필요한 설정은 다 끝났습니다!

 

빌드 & 실행

터미널에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빌드되고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cargo run

 

"Hello, World!"가 출력되었습니다! 이제 설정은 모두 끝났고 Rust를 실습해봅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