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IP (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이란?

초코민트냠냠 2024. 9. 10. 13:58
반응형

IP, Internet Protocol 이란?

IP는 인터넷 프로토콜의 약자로 인터넷 상에서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패킷을 교환하는 일종의 프로토콜입니다. OSI7 레이어 모델에서 3계층,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정보는 패킷 혹은 데이터그램이라는 단위로 쪼개져 지정한 IP목적지 주소로 전송됩니다. IPv4(RFC 791)과 IPv6(RFC 1883)이 있습니다.

IP의 주요 기능

IP 주소 부여

각 네트워크에 고유한 주소를 부여합니다. 현재는 IPv4(32비트), IPv6(128비트) 두 가지의 방법으로 주소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IPv4의 개수의 한계가 와서 거의 무한한 장치에 주소를 부여할 수 있는 IPv6로 전환 중입니다.

IP 패킷 정보

패킷 헤더에는 출발지 IP주소, 목적지 IP주소, 데이터의 길이 등 패킷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IP의 한계

비연결성 - 패킷을 받을 서버가 꺼져있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별다른 처리 없이 전송합니다.

비신뢰성 - 패킷이 중간에 사라지거나 순서대로 오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구분 - 여러 프로그램이 같은 IP주소를 사용할 때 어떤 프로그램이 사용하는지 모릅니다. 따라서 어느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데이터인지 알 수 없습니다.

결론

따라서 IP자체로 통신을 하지 않고 TCP나 UDP의 상위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데이터 전송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고 있는 HTTP는 HTTP2까지 TCP를 사용했는데 HTTP3부터는 UDP를 사용한다는 것도 흥미로운 부분인 것 같습니다.

 

반응형